정부가 지방치단체간 이해와 협력을 위해 추진하는 ‘인사 계획교류’가 성남과 부천, 고양 등 도내 대도시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특히 수원과 성남, 고양, 부천, 안양, 안산 등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5급 이상 인사교류는 단 한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인사교류 활성화에 적신호가 켜졌다.
12일 도내 지자체에 따르면 각 지자체들은 정부의 인사활성화 방안에 맞춰 지난해 하반기부터 계획교류를 본격화 했다. 이에 따라 4~6급 직위 20%범위 내에서 시·군간 자율협의를 통한 동일 계급간 1:1 상호인사교류를 추진하고 있다.
안양시는 군포와 과천에 각 1명(6급)씩 상호 인사교류를 확정한것 외에 이렇다 할 협의는 없는 실정이다. 수원의 경우에는 지난달 화성(2명)과 수원·안성·평택과 3자교류를 포함해 총 3명(6급)의 인사교류가 실시됐다. 수원시는 오산시와 또 다른 인사교류를 협의중이다.
하지만 성남·고양·안산·부천 등 도내 대도시권 지역의 인사교류는 단 한건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안산시의 경우 지난해 지방선거 이후 군포·과천·의왕·광명 등과 3자교류를 논의했으나, 단체장과 인사교류 대상 직위가 바뀐 탓에 이전 인사교류 계획이 백지화 됐다.
부천시 또한 직위 등 변동이 많고 다른 시·군과 적절한 합의점을 찾지 못해 아직 한차례도 성사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고양시와 성남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이 같은 인사교류의 이면에는 5급이상 고위직의 경우 연고지를 벗어나는 것을 원치 않고, 직원들의 호응 또한 낮아 희망자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자치단체 한 관계자는 “각 시·군에서 서로의 조건을 완벽하게 일치 시키기 어렵고, 5급 이상은 희망자가 거의 없어 시·군간 조율에 어려움이 있다”면서 “계획교류 인사시스템이 정착하려면 상당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