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구제역 발생지 지하수 18% 못 마신다

도 보건환경硏 매몰지 반경 300m 대상 47개 항목 검사
매몰 전 각종 비료·부식질 오염 원인… 연천 15곳 최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은 구제역 발생농가 주변 지하수 307건을 분석한 결과 17.6% 54건이 먹는 물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매몰지 반경 300m내 지하수를 대상으로 오염지표인 총대장균군과 질산성질소, 암모니아성질소, 염소이온 등 47개 항목을 검사했다.

부적합 장소별로는 연천이 15곳으로 가장 많고 파주 12곳, 남양주 5곳, 용인·의정부 각 4곳, 가평·김포·여주 각 3곳, 안성 2곳, 양주·광명·고양 각 1곳 등이다.

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매몰 초기 단계에 조사했고, 부적합 판정을 받은 지하수는 대부분 농경지였다”며 “매몰 전에 각종 비료 및 부식질에 의한 영향을 받아 다양한 항목이 부적합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매몰후 1년동안은 3개월마다, 2∼3년간은 6개월마다 지하수에 대해 적합 여부를 게속 조사할 계획이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매몰지가 하루 50여곳씩 증가함에 따라 전체 지하수 검사 대상이 2천곳이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