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이를 지켜본 서울시민들은 서울시에 당연히 있어야할 묘지와 화장장, 납골당과 지저분한 쓰레기·분뇨·하수처리장이 왜 고양시에 있어야 하는지, 강남·서초구에서 발생하는 분뇨와 정화조까지도 처리돼야 하는지 의아해하며 불법 기피시설까지 있다는 것에 대해 어이없다는 표정을 보였다고 전했다.
또한 최성 고양시은 10일로 예정되었던 관내 서울시 난지물 재생센터 내 불법시설물 13건에 대한 행정대집행을 앞두고 고양시 부시장과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직접 만나 30일까지 합리적 해법을 찾기 위해 T/F팀 구성을 합의하고 서울시가 법원에 요청한 행정대집행 정지 가처분 신청을 협상마무리 시한인 4월로 미루기로 합의해 놓고도 뒤로는 법원의 행정대집행 정지 가처분을 요청한 서울시의 이중적 태도에 대해 심각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그동안 정무부시장과 간부공무원을 수차례 고양시로 보내 오 서울시장의 메시지라면서 합리적 해법마련을 위한 T/F팀 구성을 공식적으로 요청해 왔고, 이에 대해 고양시는 행정대집행 강행을 앞두고 ‘기피시설 문제 해결을 위한 합리적인 해법마련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라’는 최성 고양시장의 지시에 따라 구체적인 합의문까지 도출했었다.
특히 고양시는 행정대집행 가처분 신청에 대한 인용은 본안사건의 최종 판결 시까지 행정대집행을 유보하는 잠정적인 결정에 불과할 뿐, 본안판결의 승소를 위해 고양시는 모든 법적 노력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고양시 출신의 시의원과 도의원은 이런 이유에서 고양시청이 아닌 서울시청 앞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진실한 사과와 책임 있는 답변 및 대책을 강구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