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15일 국회에서 일본 대지진 사태와 관련 ‘일본지진피해대책특위’ 첫 회의를 열고 일본 대지진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일본 피해지원 방안과 일본내 교포의 안전 대책 등을 폭넓게 논의했다.
김무성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 “무엇보다도 우리 국민들이 90만명이 넘게 현재 일본에 살고 있다”며 “이렇게 어려움에 빠져있는 일본을 위해 모든 힘을 다해서 도와야한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조진형(인천부평갑) 지진대책위원장은 “차제에 우리 국내에 있는 지진과 관련해서 대책과 점검 계획을 세우고 대비를 해야 되는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대책위원회에서 긴밀하게 정부 측하고 협조를 해가면서 우리가 협의해서 노력할 수 있는 것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안현호 지식경제부 제1차관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분석이 나오면 교육과학기술부 등 관계 부처와 원전 안전에 대해 원점부터 재검토하겠다”며 “일본 원전 사고의 교훈은 우리가 항상 대비하는 것 이상의 자연재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김창경 교육과학기술부 제2차관은 “기류가 우리나라 방향이고 후쿠시마 2호기의 격납용기가 완전 폭발하는 등 최악의 상태가 발생해도 일반인의 연간 피폭량은 허용치의 15.8% 수준으로 우리는 매우 안전하다”며 “다만 환경방사능감시망의 감시주기를 15분에서 5분으로 단축 운영하고 국방부에 항공기 공중탐사를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민동석 외교통상부 제2차관은 “일본은 지원의사는 감사하지만 기다려달라는 입장”이라며 “100명의 구조대를 추가 파견하는 문제를 적극 추진 중이며 한국만이 특별하게 지원할 분야로 유전자 감식반 파견도 고려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한나라당에서 김 원내대표와 조진형 특위위원장 등 특위위원 7명 그리고 한일 의원연맹 회장인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 정부에서 민동석 외교통상부 제2차관, 안현호 지식경제부 제1차관, 김창경 교육과학기술부 제2차관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