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가 고위 공직자의 음주교통사고와 직원 횡령 사건 등으로 공직기강 해이가 위험수위에 달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이번엔 일부 서기관들의 ‘특정식당 몰아주기’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이들 서기관들의 노골적인 편애로 지역사회의 불협화음은 물론 해당 식당과의 유착 의혹 등 온갖 괴소문이 꼬리를 물고 확산되면서 이에 대한 특단의 대책마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문제의 당사자는 A, B 서기관. 이들이 애용하는 J식당과 D식당은 이미 해당 국 산하 공직자들 사이에선 국·과 회식 등은 말할 것도 없고 사소한 모임에도 무조건 이용해야 하는 불문율의 장소가 된지 오래라는 것이 공직사회나 관련 업계의 평가다.
A, B 서기관의 이들 식당 이용은 근무지를 바꿔도 계속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공직자들과의 친분관계 유지가 필요한 지역내 사업가들과 지역유지들마저도 자연스레 이들 식당을 찾는 빈도가 늘어나는 등의 부작용마저 나타나 ‘암묵적 영업행위’란 비아냥까지 일고 있는 실정이다.
공직자 C모씨는 “A 서기관을 모시고 근무할 당시 과 회식은 물론 국 회식 등도 무조건 J식당에서 이뤄졌다”고 말했고, 또 다른 공직자 E모씨도 “국·과 회식은 물론 지역내 기관단체장 모임 등과 심지어 서너개과가 연합해서 회식을 해도 D식당에서 진행되면서, 지역내 식당업주들이 해도 너무한 것 아니냐고 항의도 했지만, 공직사회의 특성상 윗분이 결정하면 어쩔수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사업가 F씨는 “일의 특성상 시·구청과 읍·면·동사무소 출입이 잦은데, 우연을 가장해서라도 한번이라도 더 마주치는게 좋다”면서 “J식당이나 D식당에서는 자연스레 공직자들과 마주치게 되고 슬쩍 밥값도 내주는등 친분을 쌓기 좋아 더욱 자주 찾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A 서기관과 B 서기관은 타 식당과 달리 직원들끼리 식사하면서 업무얘기 등을 편하게 나눌수 있어 가끔 찾았다거나 예전 근무지 당시 몇차례 직원들과 식사차 찾기는 했으나 지금 근무지에선 인사차 한번인가 갔었다고 각각 밝히면서 “다른 이유는 없지만 괜한 오해나 억측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겠다”고 해명했다.
/용인=최영재·김태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