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이 이천시 일부 지역에서 확인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창조한국당 유원일 의원은 28일 올해 2월 이천시가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의뢰한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 일대 ‘구제역 매몰지 주변 지하수 정밀검사 결과’를 입수해 이같이 밝혔다.
유 의원에 따르면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분석한 결과 이곳 일대 ‘시설 하우스’ 3곳 지하수에서 각각 3.817mg/L, 1.120mg/L, 0.250mg/L 등이 검출됐고, 한 가정집에서도 0.597mg/L가 나와 검사지역 지하수 4곳 모두에서 가축사체유래물질이 검출됐다고 전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가축사체유래물질 수치가 1.0 이상이면 침출수로 인한 오염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 가축 매몰지와 가까운 이 두 곳의 하우스 지하수는 가축사체유래 물질에 의해 오염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유 의원은 주장했다.
이어 유 의원은 이 두 곳은 총유기탄소 농도도 17.330mg/L와 3.060mg/L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가축매몰지 침출수로 인해 지하수가 오염됐음을 뒷받침해 준다고 말했다.
이곳은 지난 1월18일 9천16마리의 돼지가 매몰, 농민들이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과 피해 가능성을 강하게 제기해 왔다.
유 의원은 “이곳 주변 가축 매몰지 현황카드를 보면, 매뉴얼 지침대로 매몰한 상당히 양호한 매몰지인데도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이 확인됐다”면서 “지금까지 매뉴얼대로 매몰할 경우 지하수 오염이 없다는 정부발표는 더 이상 믿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지난달 이천시 매몰지 주변 지하수를 검사한 결과 침출수 오염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중대본은 원자력연구원 검사에서도 염소 이온과 질산성질소는 수질 기준에 적합했고 암모니아성 질소가 기준치 이상 검출됐지만 이는 가축분뇨와 비료가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또 경기도에서 침출수 오염이 확인되지 않았지만 악취 등 지역 주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이 매몰지를 지난 24일까지 이설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