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고학력 인구가 30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중 대학교(4년제) 이상 졸업자는 처음 200만명을 넘어섰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비경제활동(비경)인구 1천639만2천명 가운데 전문대와 대학교(4년제) 이상 졸업자는 각각 93만8천명, 201만4천명으로 전체 대졸 이상자는 295만2천명으로 파악됐다.
비경인구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없거나 일을 할 의사가 없는 사람을 말하며, 가정주부·학생·연로자·불구자·자선사업 또는 종교단체에 관여하고 있는 사람 등이 포함된다.
대졸(전문대 포함) 이상 비경 인구는 1분기 기준으로 10년 전 164만4천명이었으나 2004년(206만2천명)에 200만명을 넘어선 뒤 해마다 9만~22만명 가량씩 증가, 2007~2010년에 각각 234만9천명, 256만8천명, 275만명, 285만9천명 등으로 늘었다.
비경 인구 가운데 대졸 이상 비중은 2001년 11.21%에서 2007~2010년 15.35%, 16.49%, 17.09%, 17.59%에 이어 지난 1분기에 18.01%로 높아졌다.
특히 전체 비경 인구가 지난 10년 사이 11.7% 증가하는 동안 고졸(4.2%), 중졸(3.3%), 초등학교졸업 이하(1.7%)의 경우 미미한 변화를 보인 반면 대졸 이상(전문대졸 78.0%, 대학교졸 이상 80.3%) 비경 인구는 79.5% 늘면서 전체 비경 인구 증가세를 주도했다.
대졸 이상의 경제활동 참가율도 지난 1분기 76.8%로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고용시장 사정이 회복되고 있는데도 작년 같은 기간보다 오히려 0.1%p 하락한 수치다.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1분기에는 77.3%였다.
이런 흐름은 뜨거운 교육열에 따라 대졸자가 양산되고 학력 인플레가 심화된데 따른 것이지만 고령화가 진행되고 고용률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는 고용시장 상황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