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기업 절반 이상이 과중한 업무와 3D업종이라는 편견으로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물류기업 400여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1년 물류인력 수급실태 조사’ 결과, 물류현장 인력이 부족하다고 답한 기업이 56.8%에 달했다고 18일 밝혔다.
이어 물류영업(18.9%), 국제물류(9.3%), 물류기획(9.3%), 물류정보·IT(5.7%) 분야도 인력부족 현상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부족 이유로는 ‘과중한 업무로 인한 잦은 인력 이동’(38.3%), ‘최근 물류수요 증가’(20.0%), ‘물류업에 대한 편견’(19.2%), ‘인력양성 기관 부족’(11.7%) 등을 차례로 지적했다.
물류기업들은 이같은 인력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 인력 전환 배치’(25.0%)를 가장 많이 시행했다. 다음으로 ‘사내 자체 교육’(17.0%), ‘근무시간 연장’(16.2%), ‘외주 하청 및 위탁 확대’(13.5%) 등의 대책을 실시한다는 의견도 뒤를 이었다.
물류인력난 해결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으로는 가장 많은 기업이 ‘물류 협·단체 중심의 현장 실무교육 확대’(27.2%)를 꼽았다.
이어 ‘정부의 정책적 지원’(22.4%), ‘정규교육기관의 물류교육 강화’(20.8%), ‘물류현장 중심의 업계 분위기 조성’(17.5%), ‘물류업종 위상 정립’(11.2%) 등의 순이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물류인력 양성의 초점이 물류관리와 국제물류 분야에 과도하게 맞춰져 있고, 교육 내용 또한 이론 위주로 구성돼 있다”면서 “인력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장인력 양성에도 정부의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