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제조업체 3곳 중 1곳이 R&D 인력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신제품 개발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중소 제조기업 400여개사를 대상으로 연구개발인력 현황을 조사한 결과, ‘현재 R&D인력이 부족하다’는 기업이 33.7%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지역별로는 지방기업의 35.0%, 수도권기업의 32.1%가 R&D 인력 부족을 호소했다.
업종별로는 기계업종의 R&D 인력 부족 현상이 41.9%로 가장 심각했다.
이어 ▲철강(35.1%) ▲전자(33.9%) ▲화학(33.3%) ▲자동차부품(29.6%) ▲조선(29.2%) ▲반도체(29.0%) 순이었다.
특히 전체 응답기업의 24.1%는 ‘연구인력 부족으로 신제품 개발에 차질을 빚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보유 인력 규모로는 현재 평균 12.1명의 R&D 인력을 보유하고 있었고 ‘1년내 신규 R&D인력 충원에 나서겠다’는 기업이 44.7%에 달했다. 이들 기업이 평균 채용예정인원은 3.0명으로 집계됐다.
요구하는 학력수준은 학사가 77.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석사(27.8%), 박사(5.2%) 등의 순이다.
상당수의 중소 제조업체들이 앞으로 신규 인력 충원을 계획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지방기업 기피 현상 등으로 채용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응답기업의 48.6%는 ‘단지 중소기업이란 이유만으로 인력채용시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고 답했고 지방소재 기업의 39.9%는 ‘지방근무 기피현상 때문에 채용에 곤란을 겪었다’고 응답해 향후 인력 확보가 여의치 않을 것으로 풀이된다.
인력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정책과제로는 가장 많은 기업이 ‘R&D인력 채용시 정부지원금 확대’(41.5%)를 꼽았다.
이어 ‘정부의 중소기업 근로환경개선 지원’(29.9%), ‘산학협력에 정부지원 강화’(12.8%), ‘고용정보인프라 강화’(11.9%), ‘대기업의 인력지원 및 기술지도’(3.5%) 등을 지적했다.
박종남 대한상의 상무는 “중소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개선과 더불어 인력수급 지원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