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거품꺼진 버블세븐 맥못추는 아파트값

최근 5년간 매매가 상승률 2.4% ‘의미 퇴색’
중대형·고가주택 큰폭 하락… 수도권은 20%↑
전셋값 변동률 27% 올라… 용인 39.4% 최고

서울 강남·서초·송파·양천, 경기 분당·평촌·용인 등 이른바 ‘버블세븐’ 지역의 최근 5년간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평균 2.39%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10일 닥터아파트(www.DrApt.com)에 따르면 지난 2006년 5월 ‘버블세븐’이라는 용어가 최초 등장한 이후 지금까지 5년간(2006년 5월 12일~2011년 5월 9일)의 버블세븐 지역 매매·전세가 변동률은 각각 2.39%, 26.95%인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동안 수도권 매매변동률이 20.07%, 전세변동률이 29.25%인 점을 고려하면 전세가 변동률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매매가 변동률에서는 10배 가까이 낮은 수치다.

이는 지난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를 겪은 이후 경기회복이 더디게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도권 다른 지역에 비해 고가의 주택이 몰려 있는 버블세븐의 매매가 하락폭이 더 크게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의 경우 서초구와 강남구를 제외한 나머지 5개 지역에서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하며 하락을 주도했다.

중대형 하락폭이 컸던 분당신도시와 용인시의 경우 각각 -9.81%, -6.01%를 기록하며 지난 5년간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고 목동(0.65%), 송파구(2.81%), 강남구(6.15%), 평촌(6.42%) 등의 매매변동률도 수도권 평균을 밑돌았다.

반면 서초구의 경우 한강변 재건축 기대감이 높은 반포동, 잠원동 일대 아파트들이 지속적인 강세를 보여 14.41%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편 전세가 변동률은 2006년부터 입주가 진행된 동백지구 일대 전세가가 크게 오른 용인시가 39.42%로 수도권 평균보다 10% 이상 높았다. 이어 강남구 29.94%, 목동 27.80%, 서초구 27.73%, 평촌신도시 23.96%, 송파구 22.53%를 기록했다.

이영진 닥터아파트 리서치연구소장은 “버블세븐이라는 용어가 아파트 가격 상승의 진앙지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지만 부동산 침체 및 용산, 판교 등 신흥 부촌 등장 영향으로 지정 당시에 비해 버블세븐 의미가 많이 퇴색해졌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