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제조기업의 평균수명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한국 중소기업의 진로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중소제조업의 평균수명이 지난 2004년 9.6년에서 2009년 12.3년으로 5년 새 2.7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대기업은 27.5년에서 29.1년으로 1.6년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었던 2008~2009년 사이 중소제조업의 평균수명이 11.6년에서 12.3년으로 늘어난 것이 주목된다”면서 “국내 중소기업들의 생존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진입기 → 성장기 → 성숙기 → 쇠퇴기’로 이어지는 기업 성장단계별 특징에서도 ‘성장기’에 있는 중소제조업 비중이 2006년 46.8%에서 2009년 48.4%로 늘어났다.
반면 ‘쇠퇴기’에 접어든 기업 비중은 2006년 11.7%에서 2009년 5.9%로 크게 줄었다.
그러나 이 같은 국내 중소기업의 생존역량 강화에도 불구하고 수익률, 생산성, 기술수준은 여전히 취약하다는 분석이다.
실례로 국내 공공조달시장에서 저가의 중국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8년 0.06%, 2009년 0.6%, 2010년 4.2%로 급격히 늘고 있다.
또 중소기업 수출이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1년 42.9%에서 2009년 32.2%로 10년 새 10%p 가량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