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3월 말 수도권에 대한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제도가 부활하면서 주택 구매 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4월 신고된 전국의 아파트 실거래 건수는 총 5만5천586건으로 전달(5만9천142건)과 비교해 6%(3천556건)가 감소했다고 15일 밝혔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3월 2만2천499건에서 4월에는 1만7천940건으로 한 달 새 20%(4천559건)나 감소했다.
서울은 4천787건으로 3월(6천354건)에 비해 24% 감소하며 올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강남은 999건으로 전 달(734건)에 비해 무려 26.5%나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와 인천도 각각 1만1천443건, 1천710건으로 전월 대비 18%, 20% 하락했다.
아울러 아파트 실거래가도 강남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낙폭이 커지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 전용면적 51㎡는 지난달 9억5천만~9억7천만원에 팔렸으나 4월에는 8억9천만원으로 무려 6천만~7천만원 하락했다.
송파구 가락동 시영1단지 41㎡도 지난 3월 5억2천500만원에서 4월에는 5억500만원에 팔리며 2천만원 내려갔다.
비강남권도 가격이 하락하긴 마찬가지다.
노원구 중계동 중계그린 40㎡는 지난 3월 1억8천100만원에서 4월에는 1억6천500만원으로 떨어졌고, 경기도 고양시 큰마을 현대대림 85㎡는 2억5천400만~2억6천만원으로 전월 대비 1천만~1천500만원 내렸다.
박원갑 부동산1번지 박원갑 소장은 “이사철 전세수요가 움직이는 6월 이후 전셋값이 강세로 돌아서면 아파트 거래도 숨통이 트일 것”이라며 “그러나 전셋값 상승세가 매매가격 상승세로 이어질 것인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