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건설사 10곳 중 7곳 이상이 자금난에 따른 경영악화로 공사 차질을 빚거나 사업 추진이 무산될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대기업 계열사가 아닌 전국 400개 건설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건설사의 운영현황과 애로실태 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34.8%는 ‘경영여건 악화로 공사를 중단하거나 미루고 있다’고 답했고 ‘더 이상 악화될 경우 사업 추진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답변도 40.0%에 달했다고 19일 밝혔다.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주는 이유로는 ‘자금조달 애로’(43.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미래 불확실성’(27.1%), ‘인·허가 지연’(14.7%), ‘수요자의 무리한 요구’(8.0%) 등이 꼽혔다.
자금조달 애로유형으로는 ‘신규자금 지원기피’(51.5%), ‘추가담보 요구’(21.6%), ‘대출한도 축소’(16.9%), ‘대출금리 인상’(10.0%) 등이 있었다. 특히 중소건설사 대부분은 최근 양도세 및 토지이용제한 완화 등을 골자로 정부가 발표한 주택공급 활성화대책에 대해 실효성이 없다는 반응이다.
응답기업의 83.5%가 ‘도움 안 될 것’이라며 부정적인 전망을 보였고 16.5%만이 ‘건설경기 부양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산업 지원방안으로 응답기업의 42.5%가 ‘공공부문의 공사발주 확대’를 주문했다.
다음으로 ‘규제완화’(18.3%), ‘정책자금 지원강화’(17.0%), ‘최저낙찰제 확대유보’(15.7%) 등도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한 분양가상한제가 폐지될 경우 대다수 기업이 ‘주택공급을 늘리겠다’(80.8%)고 응답해 분양가상한제 폐지 여부가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핵심관건임을 나타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지금 건설업계는 자금시장 경색과 더불어 구조조정까지 앞두고 있어 어느 때보다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면서 “정부는 건설산업의 근간이 흔들리지 않도록 신규자금의 원활한 지원, 재건축규제 완화 등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