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글로벌 FTA(자유무역협정) 허브로서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아프리카와 중남미 중심의 FTA를 적극 추진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24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간한 ‘포스트(Post)-무역 1조 달러 시대의 FTA 로드맵’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거대 무역파트너인 EU·미국과의 FTA 발효를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성장동력을 확충하기 위해 아프리카, 중남미 등 15개국과의 협상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는 올해 우리 무역규모가 세계에서 9번째로 1조 달러를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무역이 경제의 성장엔진으로 그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FTA 대상국을 지금까지와는 다른 시각에서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경제규모가 적고 경제발전 수준은 낮지만 인적·물적 자원이 풍부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우리나라와의 교역과 투자가 증가추세에 있는 나라를 새로운 FTA파트너로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별 FTA 후보국으로는 중남미에서는 베네수엘라·도미니카공화국·에콰도르·파나마, 북아프리카에서는 이집트·모로코·튀니지, 중앙아프리카에서는 나이지리아·앙골라·케냐 등이 꼽혔다.
동유럽에서는 우크라이나와 크로아티아, 아시아에서는 대만·스리랑카·파키스탄 등이 선정됐다.
조성대 수석연구원은 “기존의 FTA는 얻는 것이 있는 반면 잃는 것도 있는 식의 주고받기였다면 15개 유망국과의 FTA는 진정한 ‘윈-윈’의 기회창출형 FTA가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