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로부터 정책자금을 지원받은 중소기업의 고용 증가율이 20%를 넘어서는 등 정책자금이 기업의 고용 확대를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정책자금을 지원받은 중소기업의 고용창출효과를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평균 고용증가인원은 정책자금을 지원받기 이전인 2009년 26.49명에서 지난해 31.87명으로 5.38명이 늘어났다.
총 신규 고용인원은 3만5천명이며 업체당 평균 고용증가율은 20.3%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정책자금 지원기업(6천521개사)중 지원 전후 3개년(2009년~2011년)의 고용실적 및 고용계획을 모두 응답한 3천112개 업체를 대상으로 고용창출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특히 이들 기업은 올해에도 평균 9.0%(1만8천700명)의 추가고용을 계획하는 등 지속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자리 창출 이외에도 8천619억원의 소득과 67억원의 세수증가 효과를 유발하고 있었다.
정책자금 부문별로 보면 ‘창업기업지원자금’을 지원받은 업체의 고용창출 효과가 가장 컸다.
창업기업지원자금 지원 기업의 지난해 고용실적은 자금 지원 이전 대비 52.5% 크게 늘었고 이는 개발기술사업화지원 기업(27.1%)과 신성장기반지원 기업(17.2%) 보다 두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업력 및 규모별로는 창업 3년미만 기업의 고용창출효과가 높고 기업규모면에서 소규모 기업일수록 고용창출 효과가 월등히 높았다.
중기청 관계자는 “정책자금 지원에 따른 신규 고용계획이 있는 업체에 대해서는 융자금리를 인하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