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경기 침체와 전·월세가 상승이 가계살림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1천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동산시장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41.3%는 최근 부동산경기 침체와 전·월세가격 상승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됐다’고 답했으며 ‘실제로 지출을 줄였다’는 응답도 32.3%에 달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주택소유자의 경우 집값이 안 오르고 팔리지가 않아서, 무주택자는 전세·월세가격이 뛰어서 선뜻 지갑을 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무주택자의 경우 ‘지출을 줄였다’는 응답비율(42.8%)이 ‘소비심리가 위축됐다’(31.2%)는 응답보다 많아 전·월세가 상승으로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지출감소’란 응답이 20대는 10.2%에 불과한 반면 40대와 30대에서 각각 44.7%, 43.3%로 높았다. 수도권 주민들이 집 문제로 겪는 가장 큰 고민 역시 ‘전·월세가 상승으로 인한 보증금 인상과 원치 않는 이사’(55.6%)로 나타났다. 이어 ‘거래 부진으로 인한 주택매도 차질’(20%), ‘대출상환 부담증가나 대출곤란’(16.3%), ‘부동산경기 침체로 수입감소’(4.6%) 순이었다.
이에 따라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세금 등 부동산관련부담의 완화’(44.6%), ‘주택금융 활성화’(19.7%), ‘교통망 확충 등 주거여건 개선’(19.1%), ‘재건축, 재개발의 사업성 제고’(16.6%) 등을 많이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