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예산지원으로 일선 학교에 급식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친환경 무농약쌀의 관리 상태가 엉망인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관리기관이 일원화되지 않아 조사기관이 농약 검출 사실을 즉시 교육청에 알리지 않는 바람에 학생들만 피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한나라당 이윤성(남동 갑) 의원에게 제출한 ‘학교급식농산물 잔류농약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천지역 학교급식에 납품되는 친환경 무농약 쌀 7개 가운데 43%인 3개에서 농약이 검출됐다.
또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인천시내 22개 학교의 친환경 무농약 쌀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23%인 5개 학교에서 절대 나와서는 안 되는 농약 성분이 발견됐다.
그러나 보건환경연구원과 조사를 의뢰한 일선 구가 무농약 쌀에서 농약이 검출된 사실을 알고도 교육청에 곧바로 통보하지 않아 말썽이 되고 있다.
특히 보건환경연구원은 무농약 친환경 쌀에서 농약이 나왔는데도 일반미 허용량을 근거로 학교급식 적합 판정을 내려 농약 검출 사실을 숨겼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로 인해 몇 개 학교는 일반 쌀보다 30% 이상 비싼 비용을 내고도 농약성분이 함유된 쌀을 먹는 불이익을 당했다.
이에 이윤성 의원은 “어린 학생들에게 좋은 음식을 먹이자는 취지의 친환경 급식 자체를 반대할 이유는 없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인천시가 일선 농가에 일반 농산물과 비교, 30%정도 비싼 친환경 농산물 차액을 대신 납부해주면서 제대로 관리를 못해 학생들에게 농약 묻은 쌀을 제공한 부분에 대해서는 분명히 책임을 져야한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올 한해 친환경 농산물 구입비로 일선 농가에 25억원을 지원해 줄 계획이며 일선 군·구도 비슷한 수준의 예산을 편성해 놓고 있다.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조사결과 친환경 무농약 쌀에서 농약이 검출된 학교는 부평의 고등학교 3개를 비롯해 서구의 중학교 1개, 연수구의 중학교 3개와 고등학교 1개 등 모두 8개 학교다.
한편 이번에 검출된 농약은 벼멸구방제인 페노뷰카브로 일반미 허용 기준 0.5ppm을 넘는 경우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