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수도권과 지방의 아파트 경매시장이 양극화 현상이 짙어지며 희비가 엇갈렸다. 수도권 경매시장의 부진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부동산 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은 상반기 아파트 경매시장 주요지표를 조사한 결과 비수도권 지역에서 낙찰률과 낙찰가율, 경쟁률이 모두 수도권을 앞질렀다고 27일 밝혔다.
낙찰률 부문에서 비수도권은 60.3%로 수도권(서울ㆍ경기ㆍ인천) 38%의 약 2배를 기록했다.
낙찰가율도 비수도권 92.7%로 수도권 82.5%를 넘겼고 경쟁률은 비수도권 6.8명, 수도권 6.3명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부산의 상반기(1.1~6.26) 평균 낙찰가율이 감정가 대비 110.2%를 보이면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경남도 낙찰가율 107%를 기록하는 등 전국 광역시도 가운데 7군데가 감정가의 90%를 웃돌았다.
반면 수도권은 서울 83.5%, 경기 82%, 인천 80.6%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비수도권에서 수도권보다 낙찰가율 성적이 저조했던 곳은 전남(79.9%)과 강원(69.5%) 단 2군데에 불과했다.
수도권과 지방 경매시장의 양극화는 2009년 9월 실시됐던 수도권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와 최근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 지방의 주택담보대출이 경매 활성화의 한 요인으로 꼽혔다.
남승표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수도권과 지방에 대한 비대칭적 규제가 아파트 경매시장의 양극화를 불러온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정부에서 주택관련 금융정책을 어떻게 펼치느냐에 따라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될지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