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고양시가 장·단기 맞춤형 일자리 창출 정책 방향(본보 7월 5일 20면 보도)을 제시한 가운데 동 단위까지 세분화된 통계자료를 확보하는 등의 향후 정책 수립에 나섰다.
5일 시에 따르면 산업 정책과 일자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1인 이상의 모든 사업체에 대해 5일부터 오는 10월 31일까지 전수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사업체 전수조사를 통해 시는 산업과 일자리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동 단위까지 세분화된 통계자료를 확보하여 향후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사업체 조사를 통해 고용실태와 인력 수급에 대한 사항, 고양시의 기업정책과 일자리 정책에 대한 평가 등을 조사하며 기업들의 애로사항 등도 청취할 예정이다.
이어 동시에 실시되는 미취업자 1천명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현재의 구직 상황, 원하는 직장 그리고 구직 시 애로사항 등 구직과 관련된 전반적 실태를 파악하고 구직자의 응답 결과를 사업체의 응답결과와 비교해 구직자는 직장을 잡지 못하고, 사업체는 인력난에 허덕이는 상황을 해결할 방안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공식 통계상 고양시의 경우 실업률은 2.8%로 전국(3.4%)이나 경기도(3.6%)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지만, 그러나 주부와 노인, 장애인과 청년 등 계층별로는 구직난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이번 기회를 통해 기업지원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