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2010 인구주택총조사 ‘2인가구’ 시대… ‘4인가구’ 추월

가구원수 비율 24.3%·22.5%… 대표가구 전환
독거노인 증가 영향 1인가구 급증 23.9% 차지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구구성이 ‘4인 가구’에서 ‘2인 가구’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사는 2세대 가구가 줄고 1세대 가구가 느는 가구분화가 이어지고 1인 가구가 5년 만에 30% 급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10 인구주택총조사’의 가구·주택부문 전수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가구원 수별 비율을 보면 전체 1천733만9천가구 가운데 2인 가구 비율은 24.3%(420만5천가구)로 가장 많아 주된 가구 유형으로 등장했다.

2인 가구 비율은 1990년에는 13.8%에 그쳤지만 1995년 16.9%, 2000년 19.1%, 2005년 22.2% 등으로 꾸준히 높아졌다.

또 1인 가구는 414만2천가구로 2005년보다 30% 급증했다. 1인 가구 비율은 2005년 20.0%에서 지난해 23.9%로 높아졌다.

1인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2005년에는 20대가 21.4%로 가장 많았으나 지난해는 70세 이상이 19.2%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홀로 사는 노인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990년 이후 가장 주된 가구유형이던 4인 가구 비율은 22.5%(389만8천가구)로 2005년의 27.0%에서 4.5%p 급감하면서 1인 가구보다 적어졌다.

한편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가 처음으로 단독주택 거주 비율을 앞질렀다.

가구별 거처 유형을 보면 아파트 거주 가구는 47.1%인 816만9천가구로 2005년의 41.7%보다 5.4%p 증가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단독주택 거주 비율보다 높아졌다.

단독주택 거주 비율은 2005년 44.5%에서 지난해 39.6%로 낮아졌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