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14일 “‘박근혜 대세론’은 복지나 친서민에 대한 정책을 강화할 경우 지난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대세론’과 유사한 형태로 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홍 대표는 이날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중견언론인 모임인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지금 (당내) 유력 대선 후보들 중에서 개인적 문제를 가진 사람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민주당처럼 치열한 이벤트없이 우리가 경선을 치렀을 때 집권 플랜을 어떻게 가져가야 하는지 1992년과 1997년 김영삼·김대중 대통령의 경선 모델을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대표는 또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문수 지사가 임기중 사퇴하고 대선 후보로 나서는 상황에 대해 1997년 이인제 전 지사를 예로 들며 “후보가 되면 단체장을 사퇴하는 것이고 후보가 안되면 단체장을 계속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야권에서 가장 위협적인 후보가 누구냐’는 질문에 “가장 벅찬 상대는 민주당 손학규 후보”라고 했고, 총선 전망에 대해선 “한나라당이 이 상태로 가면 120석 전후지만 친서민 정책을 강화하면 140석 전후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정부 출범 이후 전반기는 개혁을 위해 청와대가 선도하지만 후반기에는 당이 선도할 수밖에 없다”면서 “선거는 당이 책임지고 하지만 당정청이 충돌하면 공멸한다”고 당정청 조화를 거듭 강조했다.
그는 “역대 대통령들이 실패한 큰 요인이 임기말 레임덕(권력누수)과 권력비리, 당청관계에 있다”면서 “이 세가지를 중점에 두고 임기말 정부 관리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홍 대표는 모두발언을 통해 “한나라당이 ‘웰빙정당’의 멍에를 벗고 명실공히 ‘서민정당’으로 환골탈태할 수 있도록 산파역을 하겠다”면서 당 운영의 3대 키워드로 ‘서민·현장·신뢰’를 내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