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 가동을 시작한 고양시 첨단소각장이 설계 기준치에 미달하는 원인을 찾지 못한 채 지난달까지 15개월간 모두 30여억원의 손실비용을 발생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한국환경공단이 고양시의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환경공단이 지난해 4~12월 9개월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소각장을 위탁 운영한 결과, 설계기준에 미달해 21억4천100만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했다.
열분해 용융방식의 이 소각장의 설계기준은 하루 쓰레기 처리량 300t, 코크스(소각 촉진을 위해 사용하는 자재) 사용량은 5%, 비산재(소각 때 발생하는 부산물) 발생률 1.26%이다.
그러나 실제 하루 쓰레기 처리량은 230~240t에 불과하고 코크스 사용량은 8.18%, 비산재 발생률은 5.9%로 나타났다.
지난 1~6월 운영 결과도 코크스 사용량 6.86%, 비산재 발생률 4.59%로 성능이 다소 개선되기는 했으나 여전히 설계 기준에 미치지 못해 10억원 이상 추가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한국환경공단은 추산했다.
이런 가운데 운영업체인 한국환경공단과 시공업체인 포스코건설은 책임공방을 벌이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고온에서 균일하게 열분해가 이뤄지도록 하는 시설인 소각로 내 내화물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포스코건설은 운영 미숙을 원인이라고 각각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한달 간 정기보수공사를 끝내고 오는 21일 재가동하는 소각장의 운영상황을 지켜본 뒤 성능이 개선되지 않으면 손실 보상 등 대책을 강구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아직까지 소각장 성능저하의 정확한 원인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더 이상 기다릴 수 만은 없는 상황이어서 재가동 뒤에도 성능이 개선되지 않으면 손실 보상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시 소각장은 모두 1천129억원을 들여 건설한 것으로, 지난해 4월 한 달간의 시운전을 마친 뒤 가동을 시작해 한국환경공단이 위탁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