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이 최근 환율하락으로 수출이익에 타격을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수출중소기업 292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환율하락에 따른 수출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 응답업체의 85.1%가 ‘환율하락이 채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고 21일 밝혔다.
특히 69.5%의 기업은 최근 환율하락으로 인해 수출이익이 감소했고 12.2%는 적자수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 중소기업들이 희망하는 최소한의 채산성 유지를 위한 적정환율은 1달러 당 1천118.6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환율하락에 따른 채산성 악화’(31.2%)와 ‘원자재 수급 및 가격변동’(25.1%)을 꼽았다.
또 정부가 가장 노력해야 할 사항으로 34.1%의 기업이 ‘안정적 환율운용’을 답했고 뒤이어 ‘해외판로개척 및 해외 마케팅 지원’(22.4%), ‘수출금융 지원’(20.3%), ‘원자재 수급’(9.8%) 등의 의견이 있었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환율변동이 대기업에게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수출 중소기업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널리 인식될 필요가 있다”며 “수출중소기업이 환리스크에 대비할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