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의사결정기구인 최고위원회의가 당의 전략을 가다듬고 지도부 간 공감대를 넓히는 장이 아니라 회의 때마다 갈등을 여과없이 드러내는 자중지란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5일 오전 개최된 최고위원회의도 예외는 아니었다.
서울시장 출마를 선언한 천정배 최고위원이 손학규 대표에게 “대선에 대한 언급을 하지 말라”고 요구한 것이 발단이었다.
그는 손 대표가 지난주 “출마 당사자로서 시장선거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데 대해 “그렇다면 송충이는 솔잎을 먹지 않아야 한다고 생물도감 내용을 바꿔야 하느냐”며 받아친 것.
손 대표는 “최고위원회는 정견 경연장이 아니다”라고 반박했지만, 회의장 밖에서도 고성이 들릴 정도로 언성이 높아졌다.
박영선 정책위의장이 “최고위원은 방관자나 비평가가 아니라 함께 책임져야하는 집단지도체제의 책임자들이다. 앞으로 이 말을 꼭 명심했으면 좋겠다”며 공개발언 자제를 에둘러 요청하자 당사자들이 크게 반발했다.
천 최고위원은 “최고위원들을 어떻게 훈계하느냐. 하극상 아니냐”고 따졌고, 박 정책위의장은 “훈계가 아닌 현실이다. 지금까지 천 최고위원과 정동영 최고위원 발언으로 민주당이 지지도를 많이 손해보지 않았느냐”고 물러서지 않았다.
정장선 사무총장이 천 최고위원에 대해 유감을 표시하자 손 대표는 “죄송은 뭐가 죄송이냐”고 발끈했다.
천 최고위원과 가까운 정동영 최고위원도 지지 않고 “당 대표가 자꾸 통합경선, 통합 후보를 얘기하는데 그동안 실제로 한 일이 뭐냐”고 불만을 쏟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