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외교통상통일위 전체회의에 앞서 열린 여야정 협의체에는 한나라당 황우여,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까지 참석했지만 여야는 한·미FTA 비준안 처리를 놓고 줄다리기를 이어갔다.
다만 여야정 협의체와는 별개로 한나라당과 민주당 간에 협의가 계속 진행되고 있고 통상절차법 제정 등 일부 쟁점에 대해서는 의견 접근을 보는 것도 있어 막판 협상결과가 주목된다.
한나라당은 “미국 의회가 비준한 만큼 빠른 시일내 처리하자”며 압박 수위를 높였지만, 민주당은 “10+2 재재협상안에 대한 협의를 거쳐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황 원내대표는 “10+2 관련 협상안을 도출해 되도록 빠른 시간에 여야 합의로 FTA 비준안을 통과시키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가급적 오늘 결실을 봐 국익에 손상이 없고 무한한 경제적 영토가 확장되는 역사적 의미가 있도록 국회가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 원내대표는 “정부와 한나라당은 10+2를 어떻게 할지에 대한 답을 이 시간까지 내놓지 않고 있다”며 “아무리 늦더라도 미국의 이해를 구해 골목시장·중소기업을 보호하는 관련법 제정을 한·미FTA 비준과 함께 해야 한다”고 맞섰다.
양당은 근본적인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회의후 각각 브리핑을 갖고 입장을 설명했다.
한나라당 소속 남경필 외통위원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우리가 미국보다 두 보, 세 보 늦게 가서는 안 되며 비준안 처리를 무작정 늦출 수는 없다”면서 “민주당은 근본적으로 한미FTA에 반대하지 않아 충분히 타협이 가능하며 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의 요구를 분리해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당은 또 오는 17일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법안심사소위 차원에서 한미FTA(자유무역협정) 비준안에 대한 ‘끝장토론’을 열기로 합의했다.
한미FTA반대 범국민대책본부와 정부 간의 이번 ‘끝짱토론’에는 양측에서 각각 2명씩 나와 찬반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정부측에선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과 다른 관계자 1명이 참석한다.
여야는 이날 외통위 전체회의를 열고 주요 쟁점에 대한 대체토론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