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누적으로 운행중단된 고양~의정부간 교외선 전철화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사업으로 재선정돼 경기북부지역을 동서로 연결하는 유일한 철도망 구축에 탄력을 받게 됐다.
한나라당 손범규(고양 덕양갑) 의원은 교외선 복선화 사업이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 자문회의 심의를 통과해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사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경기북부지역을 동~서로 연결하는 유일한 철도망인 교외선은 1963년 고양 능곡~대곡~대정~원릉~삼릉~벽제를 지나 양주 일영~장흥~송추~의정부 29.9㎞에 개통됐으나 적자 누적으로 2004년 4월 운행을 중단했다.
손 의원은 지난 9월 김성수(양주·동두천)의원과 김상도 의정부갑 당협위원장과 함께 기획재정부를 방문해 교외선 복선화사업 예비타당성 재조사를 요구했었다.
이들은 당시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공여지특별법)’에 따라 5개 대학을 경기북부지역에 유치, 인구 급증에 따른 교통혼란이 예상되기 때문에 교외선 복선화 사업을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여지특별법에 따라 경기북부지역에 유치된 대학은 중부대(고양시), 을지대(의정부시), 경동·예원예술대(양주시), 침례신학대(동두천시) 등 5개 대학이다.
교외선 전철화사업은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했으나 비용편익분석(B/C)이 복선 0.45(1 이상이면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 단선 0.53으로 나타나 보류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