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돈 먹는 고양소각장 ‘네탓 공방’

1천여억 들여 준공… 원인 모를 성능미달에 손실 ‘눈덩이’

1천여억 원을 들여 지은 고양시의 첨단 소각장이 2년째 제 성능을 내지 못하는 원인을 밝히지 못한 채 운영업체와 시공업체가 책임공방만 벌이고 있다.

10일 고양시에 따르면 1천126억원을 들여 지난해 3월 준공한 고양시 첨단 소각장은 하루 쓰레기 300t을 처리하도록 설계됐다. 그러나 지난달 말까지 하루 220~240t밖에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

쓰레기를 태울 때 첨가하는 코크스 사용량은 5%로 설계됐지만 7%를 넘어서고 소각 때 발생하는 부산물인 비산재도 기준치 1.26%를 훨씬 초과해 5%를 넘는다.

이로 인해 지난해 6억2천만원, 올해 연말까지 11억4천만원의 운영비가 증가하는 등 손실이 눈덩이처럼 증가하고 있다.

코크스의 경우 지난 1~9월 설계치대로 하면 2천185t을 사용해야 했다. 그러나 932t 많은 3천117t을 사용하면서 6억4천만원의 비용을 더 지출했다.

또 자체 생산한 전력을 활용하지 못하면서 매월 60만원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됐던 전기료가 자그마치 매월 1억원에 달하고 있다.

소각장에서 처리해야 할 쓰레기 3천500t도 수도권매립지에 매립, 5천700만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했다.

그러나 소각장 성능미달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책임 공방만 벌어지고 있다.

위탁운영업체인 한국환경관리공단은 시설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시공사인 포스코건설은 시설의 문제라기보다는 운전 미숙에 원인이 있다며 각기 다른 분석을 내놓고 맞서고 있다.

환경관리공단의 한 관계자는 “소각장을 포스코건설에서 인수해 1년 반 이상 운전을 해봤는데 시설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시스템 보완 공사를 벌여 원인을 파악, 성능이 설계치에 도달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반면 포스코건설의 한 관계자는 “비산재가 과다하게 발생하는 부분은 설계상에 과소 산정된 부분이 있다”며 “그러나 소각량은 운전만 잘하면 충분히 설계대로 성능을 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행히 최근 5일간 하루 소각량이 260~285t으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소각로에 공기 주입량을 늘린 것 외에 달리 조치한 것이 없어 앞으로도 꾸준히 성능이 좋아질 것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고양시는 성능 보증기간인 2013년 3월까지 시설 개선여부를 지켜본 뒤 제 성능이 나오지 않으면 시설을 철거하고 공사비를 반납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