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화 청사 논란을 빚어온 성남·용인시 등 도내 일부 지자체들이 청사 신축 이후 지출되는 막대한 유지관리 비용이 되레 재정난을 압박하고 있다.
특히 이들 지자체들은 청사 신축 전후의 유지관리비용 급증에 따른 예산절감 차원에서 LED교체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실효성 여부는 미지수다.
15일 도내 해당 지자체 등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도내 지자체들이 앞다퉈 신청사를 건립하면서 유지관리 비용이 대폭 증가했다.
이천시의 경우 총 사업비 382억원(토지매입비 제외) 투입, 2008년 3월 부지면적 6만5천333㎡에 지하 1층 지상 9층 규모로 청사를 신축했다.
하지만 2007년 구청사 당시 3억900만원에 불과했던 유지관리비용이 신청사 건립 후인 2009년 24억3천500만원으로 무려 688%나 폭증했다.
항목별로 시설비 및 부대비가 무려 500만원에서 2억4천500만원으로 48배, 관리용역비는 37배 늘었다. 공공요금과 세금 등 일반운영비도 3배 뛰었다.
2009년 11월 7만4천452㎡ 부지에 총 사업비 3천222억원으로 지하 2층, 지상 9층, 규모로 지어져 호화 청사 논란을 빚었던 성남시도 2009년 20억8천만원에서 2010년 50억5천만원으로 142.8% 상승했다.
신청사의 연면적(7만3천957㎡)이 구청사의 연면적 4만9천705㎡보다 1.5배 증가한 만큼 관리용역비 및 공공요금이 포함된 일반운영비도 2배 가까이 상승했다.
용인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사업비 1천974억원의 예산을 들여 지하 2층, 지상 16층 규모로 2005년 8월 완공된 시청사의 유지관리비용 역시 2004년 당시 7억900만원에서 지난해에는 40억8천만원으로 475.5%나 상승했다.
이들 지자체의 청사유지관리예산이 일반회계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구청사 당시 0.1%에서 0.4~0.6%로 늘었다.
이에 대해 용인시는 본청과 시의회, 처인구보건소, 문화예술원, 복지센터 등 5개의 기관이 포함된 문화복지행정타운으로 지어져 이에 따른 유지관리 비용도 같이 정산되기 때문에 비용이 더 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최근 호화논란을 빚으며 개청한 수지구청, 기흥구청, 처인구청 등 3개 구청의 연간 유지관리비 4억6천만원과 33개 읍·면·동사무소까지 합하면 60억원이라는 막대한 관리비가 투입돼 이에 따른 절감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황이 이쯤되자 이들 지자체들은 다양한 예산절감 방안에 부심하고 있다.
성남시는 건물 내 형광등을 LED등으로 교체했고, 용인시는 임대 등 수익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난방비와 전기세 등을 절감키 위해 200㎾ 태양광 발전소 설치 및 태양열 이용 등 자체유지관리비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용인시 관계자는 “공공청사의 유지관리비가 매년 증가해 재정부담이 되는 건 사실이지만, 이에 대한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 중에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