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부터 수도권과 경기도, 강원지역에 거주하는 예비군은 현역시절 복무했던 부대에서 훈련을 받게 된다.
국방부는 현재의 주소지 중심의 동원지정제도를 ‘현역 복무부대 동원지정제도’로 변경해 내년부터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현재는 주소에 따라 예비군 훈련부대가 지정되는데 내년 1월부터는 자신이 현역시절 복무했던 부대로 찾아가 훈련을 받게 된다. 이 제도는 예비군 자원이 많고 소집부대가 밀집된 수도권과 경기도, 강원지역을 대상으로 시행된다.
반면 충청·영남·호남지역은 현재처럼 주소에 따라 예비군 훈련 부대를 지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같은 방안이 발표되면서 거주지 인근이 아닌 ‘원정 예비군훈련’을 받는 불편을 초래하는 탁상행정이라며 거센 반발도 일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과거에는 예비군을 즉각 소집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않아 유사시 예비군을 정해진 시간내에 입소시키는 것이 중요했다”면서 “지금은 고속철도와 고속도로 등 교통수단이 발달해 지난 30여년간 유지해 온 동원지정제도를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현역복무 부대로 소집되는 예비군은 거주지에서 부대까지 거리가 20㎞ 이내이면 개별적으로 입소하고, 그 이상의 거리는 지역별로 지정된 장소에 대기해 국방부 수송차량으로 이동한다. 개별적으로 입소하는 예비군에게는 교통비가 지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