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쇄신 격랑’의 한복판에 서서 논란에 휩사였다.
한나라당은 1일 오전 홍준표 대표 주재로 최고위원회의를 개최, 당의 환골탈태를 이끌어내기 위한 쇄신안 모색에 나섰다. 난상토론을 예고하듯 약 100분간의 회의 전 과정이 비공개로 이뤄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공천 기준·방법, 당 체질개선 문제 등이 집중 다뤄졌고, 당과 대통령의 관계 재설정 문제가 새 쟁점으로 부각됐다.
이날 참석한 최고위원들은 “견해차가 크지 않았다”고 분위기를 전했지만, 공천 및 대통령과의 관계 등이 휘발성 강한 이슈라는 점에서 쇄신안 도출과정에서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당 지도부는 휴일인 4일 최고위를 다시 열어 ‘쇄신 합의’를 시도한다.
이날 당 지도부는 공정한 공천과 함께 ‘외부 입김을 차단한 공천’에 대해 한목소리를 냈다.
홍 대표는 이날 최고위에서 “공천에 있어 전횡은 있을 수 없다”며 “누구도 관여할 수 없는 시스템으로 엄정하고 객관적인 공천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공천기준과 방식 등을 놓고는 입장이 엇갈린다.
이미 영남·강남 등 당선 가능성이 높은 지역과 고령·다선 의원에 초점을 맞춘 물갈이론과 지역·선수(選數)에 구애받지 않는 객관적 평가기준에 따른 물갈이론 등이 맞서 있다.
원희룡 최고위원은 “현역의원에 대한 심사·선정 방식을 공심위가 판단토록 하고, 전략공천의 경우에는 별도의 전략공천심사위를 구성, 국민의 눈높이에 공천을 맡겨야 한다”고 제안했다.
홍문표 최고위원은 당 지도부가 ‘공천 매뉴얼’을 공심위에 넘기는 것으로 공천에서 손을 떼고, 공심위에 외부인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60% 이상 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물갈이 기준 못지않게 그 폭도 관심이다.
여권 대권주자로 꼽히는 김문수 지사는 “서울 강남과 영남지역에서 50% 이상 물갈이를 해야 한다”고 밝혔고, 정몽준 전 대표는 “4년에 한 번 하는 인사이므로 가능한 한 많이 바뀌는 게 좋다”고 언급했다.
이같은 기준은 영남권 다선·고령 의원들이 ‘물갈이론’ 표적이 될 수 있다. 현재 한나라당 4선 이상 중진의원 17명 중 10명이 영남권에 포진해 있다.
여기에 한나라당의 ‘새피 수혈’도 관심이다. 돌아선 2040세대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이미지 쇄신을 위해서는 젊은층을 타깃으로 적극적인 신진세력 영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