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예산안의 국회 처리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여파로 공전하면서 오는 9일 끝나는 정기국회를 넘긴 채 별도의 임시국회에서 처리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회기내 처리방침을 고수하고 있으나 강행처리에 따른 역풍을 우려하고 있고, 비준안 ‘날치기’ 처리 사과 등을 요구하며 등원을 거부하는 민주당은 예산안 심의지연 및 졸속 심사에 따른 책임론이 부담스럽다.
이로 인해 정기국회내 예산안 처리가 사실상 어려워져 임시국회를 추가로 열어 예산안과 민생법안을 처리하는 쪽으로 여야가 합의할 가능성이 커졌다.
한나라당 황우여,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이번 주에 접촉을 갖고 예산안 심의를 위한 국회 정상화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5일 의원총회를 열어 예산문제를 논의하기로 했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4일 “민주당이 예산안 처리에 대한 의지가 없다”며 “정 안되면 단독처리라도 해야하는데 큰 일이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은 임시국회 소집 요구 쪽으로 가닥을 잡는 모습이다.
김진표 원내대표는 “예산안을 졸속으로 심사하고 날치기하도록 내버려 둘 수 없다”며 “비준안을 날치기한데 대해 하루 빨리 사과하고 임시국회를 열어 예산안을 제대로 심사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예결특위 민주당 측 간사인 강기정 의원은 “15개 상임위에서 넘어온 삭감안과 증액안을 1차 심의하는데 최소한 8일 이상 걸리고 2차 검토와 여야 원내대표 합의가 필요한 기간을 고려하면 임시국회 개회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