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이해찬·문재인 상임대표 등 혁신과통합 상임대표단이 7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야권통합을 위한 최종논의를 하고 있다./연합뉴스
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이 주축인 시민통합당 간 통합 협상이 7일 전격 타결됐다.
그러나 야권통합 국면에서 갈등과 충돌을 반복한 민주당 내 손학규 대표와 박지원 전 원내대표가 통합정당의 지도부 선출방법을 둘러싼 이견을 없애는데 실패, 결별을 선언하면서 앞으로 전당대회의 합당 추인 문제가 야권통합 성사여부의 최대 변수로 자리하게 됐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정세균 최고위원, 혁신과통합 문재인·이해찬·문성근·이용선 상임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긴급 회동을 갖고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의 당대당 신설합당에 필요한 합의를 도출했다.
최대 쟁점인 지도부 선출방식은 선거인단을 ‘대의원 30%, 당원·시민 70%’로 구성하는데 합의했다.
대의원 선거인단은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의 대의원을 동수로 꾸리고, 민주당의 당비당원 12만명은 별도의 선거인단 신청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선거인단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시민이 선거인단에 등록할 경우 약식으로라도 당원에 가입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이른바 ‘임시당원’ 제도는 시민통합당의 반대를 감안해 도입하지 않기로 했다.
양당은 통합정당의 당명을 공모절차와 국민의견을 수렴해 통합수임기관 합동회의에서 결정하되 약칭을 ‘민주당’으로 정하고, 19대 총선의 지역구 후보자 공천은 완전개방 시민경선을 원칙으로 한다는 데 합의했다.
또 최고위원회는 선출직 6명, 지명직 3명, 당연직 2명으로 하되 지명직에는 노동계 1명을 포함해 여성·지역을 고려해 정할 방침이다.
청년의 정치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당연직 최고위원회에 청년대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비례대표 등에도 배려할 계획이다.
이같은 통합 협상의 타결에도 불구, 당내에서는 손 대표와 박 전 원내대표간 경선룰 합의에 실패한 뒤 결별을 선언하면서 당내 논란도 격화될 전망이다.
이들은 지난 5일에 이어 이틀 만에 회동했으나 유력한 차기 당권주자인 박 전 원내대표는 “나의 길을 가겠다”며 거부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격앙된 목소리로 “(경선룰은) 나와 합의한 것도 아니고 만장일치도 아니다”며 “내가 왜 들러리를 서고 이대로 있느냐. 손 대표가 추진하는 대로 잘하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8일 지역위원장 회의, 9일 당무위원회를 거쳐 11일 전대에서 합당을 결의할 예정이지만 박지원 전 원내대표를 비롯해 합의내용을 수용하지 못하겠다는 반대파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반대파들은 합의내용이 민주당의 정체성을 훼손하고 사실상 시민통합당에 흡수합당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반박, 전대 표결을 요구할 방침이어서 마찰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