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오는 11일 전당대회에 대한 당내 일부의 ‘전대 보이콧’ 움직임이 나오면서 ‘혁신과통합’ 주축인 시민통합당과의 합당 결의를 원만하게 끌어내는데 ‘올인’하고 있다.
시민통합당과 통합에 필요한 합의를 극적으로 도출했지만 당 내부에서 통합 절차·방식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여전, 자칫 전대가 무산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8일 일부 반대파가 ‘전대 보이콧’에 나서려는 움직임을 파악하고 의결 정족수를 채우기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우선 이날 오후 지역위원장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9일에는 광역의회 의장단회의를 개최하는 등 대의원의 전대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16개 시·도당별로 중앙당 당직자를 1~2명 파견하고 중앙당에 콜센터를 마련하는 한편 지역위원장, 대의원을 상대로 수시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면서 공을 들이고 있다.
민주당은 9일 대의원 명부를 확정하면 그 수가 당초 알려진 1만2천명이 아니라 1만명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5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하지 않아 자격을 상실한 대의원이 20% 가량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은 전대 진 과정에서 반대파의 표결 요구가 나올 것으로 보고 중앙선관위에 전자개표기 지원도 요청했다.
김진표 원내대표는 “민주당 전원이 똘똘 뭉쳐서 11일 전대를 축제로 치러내야 한다”며 “70%를 내주더라도 통합해야 한다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유지를 받들어 전대 성공에 전력을 다하자”고 강조했다.
손학규 대표의 야권통합 방식에 반발해 결별을 선언한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 손 대표에 대한 대선지지를 철회하겠다면서 “앞으로 손 대표와 정치적 행보를 함께 하지 않겠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그는 “전당대회에 불참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비열한 방법으로 불참한다든지 지역위원회 대의원을 불참시키는 일은 하지 않겠다. 내게는 반대 행동을 조정할 능력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반대파에 선 일부 원외 지역위원장 사이에서는 전대에 참여하지 말자는 기류도 있다. 이들은 이날 지역위원장 회의 결과를 지켜보고 행동방침을 정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