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국회의원 선거가 10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경기·인천지역의 출마 예정자들도 열전 채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관련기사 7면
4월11일 치러지는 이번 총선은 8개월 뒤 대선의 구도를 좌우하는 데다, 대권주자들의 앞날에도 명암을 가를 수 밖에 없어 여·야의 양보없는 대혈전이 불가피하다.
특히 지역구 의석 111석에 달하는 서울과 경기·인천의 수도권지역은 거물급 친노인사들이 다수 출사표를 던진 부산·경남지역과 함께 여야의 승패를 가르는 분수령으로 최대 격전지가 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박근혜 전 대표가 지휘하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한 발 먼저 전열을 갖췄고, 민주당에 친노·시민사회·노동계가 합세한 민주통합당은 1월15일 전당대회를 통해 ‘총선 지도부’를 출범시킨다.
경기도·인천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9일 현재 등록된 예비후보자 수는 62개 선거구에 경기 4.5대 1, 인천 4.6대 1로 달하고 있으며 전국 245개 선거구에 980명으로 평균 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부의 현역의원들이 예비후보 등록을 하지 않은데다, 오는 12일 공직 사퇴시한을 앞두고 있어 미등록 예비후보자를 포함할 경우 경쟁률은 더욱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야권은 이명박 정부에 대한 정권심판론을 내세우며 연말 대선으로 이어지는 ‘정권탈환’ 전략을 가동할 것으로 보이며, 한나라당은 중도·서민으로의 정책기조 전환으로 이반된 민심을 수습하며 수성에 총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 총선은 전통적인 여·야 대결구도 외에도 지난 1987년 민주화 체제에 기반한 정당정치가 시험대에 놓이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민생을 외면한 기성 정치권에 대한 유권자의 깊은 불신이 제3지대 정치세력을 탄생시키고, 새로운 정치 패러다임을 구축할 지 주목된다.
‘박근혜 대세론’의 위력회복, ‘안철수 신드롬’의 재연 여부와 함께 야권통합이라는 정치실험이 과연 판도를 뒤흔드는 파괴력을 가질 것인가도 이번 총선의 관전 포인트로 꼽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