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이상돈·김종인 비대위원의 ‘MB정부 실세 용퇴론’으로 촉발된 당내 갈등이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진화 노력에도 불구, 친이계가 두 사람의 사퇴를 공개 압박하면서 출범 1주일을 맞은 비대위가 초반부터 진통을 겪고 있다.
특히 친이계 일부 의원들이 두 비대위원의 사퇴를 위해 당내 비박(비박근혜) 세력을 규합, 집단행동에 나서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쇄신 내홍이 깊어지고 있다.
불출마를 선언한 친이계 장제원 의원은 2일 “그간 당내 민주화나 반부패·차떼기 정당의 이미지를 벗어나려고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느냐”며 “동화은행 뇌물수수, 노태우 비자금 조성사건으로 사법처리된 분이 쇄신의 칼날을 휘두르면 누가 복종하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또 “우리의 문제 제기에 대해 일부 비대위원이 ‘자살골 넣는 것’이라고 하는데 계속 이런 식이면 다른 비리를 얘기할 수도 있고, 추가로 다른 비대위원 2명 정도의 비리 형태도 폭로할 수 있다”면서 “한두 명의 비대위원이 당의 존립을 흔드는 행동에 대해 뜻을 같이하는 분들과 대규모 회동을 하고 집단성명을 발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른 친이계 의원도 “김종인 비대위원은 대표적인 부패인사이고, 이상돈 비대위원은 천안함 폭침과 관련해 정체성이 불분명한 사람이자 17대 대선 때 한나라당을 탈당한 무소속 이회창 후보를 도와 당에 해를 끼친 사람”이라며 두 사람의 사퇴를 거듭 촉구했다.
쇄신파인 정두언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박근혜 비대위는 한나라당이 처한 절체절명의 위기 끝자락에서 탄생한 비상기구”라며 “이 체제에 대한 생산적인 비판은 몰라도 부당한 기득권을 고수하기 위한 체제 흔들기는 해당행위나 이적행위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