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서구 검단지역의 일부 주민들이 검단신도시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한 것에 반발, 사업지구 지정 철회와 경기도 김포시의 재편입을 요구하고 나섰다.
‘검단신도시 2지구 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장기선·이하 검단신도시대책위)’는 지난달 12일 지역 시·구의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사업지구 지정의 철회와 김포시 재편입안을 논의했다.
검단신도시대책위는 인천 서구 당하동·원당동 일대 1천812만㎡ 규모로 조성되는 검단신도시 사업은 현재 지장물 보상절차에 들어간 1지구만 우선 추진되고 있고, 2지구는 2010년 지구 지정 이후 사실상 사업이 중단되면서 주민들만 토지매매와 건축제한 등 재산권 침해를 당하고 있다며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또 경인 아라뱃길 개통으로 생활권이 김포권역화했다며 김포시 재편입을 요구하고 있다.
검단신도시대책위 관계자는 4일 “지난 1995년 검단이 김포에서 인천으로 편입된 이후 생활여건이 나아진 것이 없다”며 “신도시가 계획대로 추진되는 게 아니라면 지리상 근접한 김포로 다시 돌아가는 게 낫다는 공감대가 주민 사이에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당분간 사업시행사의 추진의지를 지켜본 뒤, 김포시 재편입 촉구집회 개최 등 적극적인 행동에 나설 계획이다.
검단신도시대책위는 지난달 인천 서구의회에 검단신도시 사업을 철회하고 김포시로 편입해달라는 주민들의 요구을 담은 청원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서구의회는 기초자치단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며 이를 반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천 서구의 관계자는 “행정체계 개편이 쉬운 문제가 아니다”면서 “재편입 요구에 대해 특별한 검토는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검단신도시는 서구 마전·당하·원당·불로동 일대 18.1㎢ 규모로, 총 9만2천가구의 주택을 지어 23만명의 인구를 수용할 예정이다.
한편, 최근 김포시가 강화군과 더불어 경인아라뱃길 북쪽지역인 검단지역을 김포시 행정구역에 편입해달라고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에 건의한 것과 맞물려 파장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