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에 이어 민주통합당도 9일 돈봉투 살포의혹이 불거져 긴급 최고위원회를 소집하는 등 ‘전대 돈 봉투’ 불똥이 번졌다.
일부 전대 주자들은 당 지도부에 대해 진상조사 및 금품 살포 후보의 사퇴를 촉구했고, 지도부는 이날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해 자체 진상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당내에서는 지난해 12월26일 치러진 예비경선(컷오프)을 앞두고 모 후보 측이 일부 지역위원장들과 식사를 하며 30만∼50만원을 건넸다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이 통합하기 이전인 지난해 하순부터 대표 경선을 염두에 두고 돈을 내려보내 지역조직을 관리했다거나, 통합 결의과정에서 물리적 충돌로까지 이어진 작년 12.8 임시대의원대회 때도 돈 살포설이 나돌고 있다.
영남권의 한 지역위원장은 인터넷매체와의 통화에서 “지난해 12월8일 민주당 임시 전국대의원 때 모후보 측이 돈봉투를 돌린 사실이 있다”며 “50만원을 줬지만 거절했다”고 밝혔다. 시민 선거인단 모집과정에서도 자금이 뿌려졌다는 얘기까지 나돌고 있다.
민주통합당은 금품선거 의혹이 불거지자 당혹해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민주통합당은 이날 오후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자체 진상조사단을 구성해 조사에 착수키로 하고 위원장에 홍재형 선거관리위원장이 맡기로 했다.
오종식 대변인은 “사실관계를 철저히 파악하기 위해 즉각 진상조사단을 구성키로 했다”며 “조사 결과 불법·부정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해당 후보자의 후보자격 박탈과 검찰 수사 등 모든 정치적·법적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한국YMCA 전국연맹 사무총장 출신의 경선주자인 이학영 후보 측은 논평을 내고 “돈봉투 구태정치를 달고 창당대회를 치를 순 없다”며 진상조사와 함께 해당후보 제명 및 수사 의뢰를 촉구했다.
박용진 후보도 청주 합동연설회에서 “검찰 고발을 통해서라도 사실을 명명백백히 밝혀야 한다”며 “만약 관련자가 컷오프를 통과한 분이라면 사퇴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통합진보당 유시민 공동대표는 지난 6일 “(정당 내에서) 금품살포를 목격한 바도, 경험한 바도 있다”고 밝힌데 이어, 당권주자인 김부겸 후보도 “1990년대만 해도 유권자 숫자가 제한돼 선배들이 밥도 사고 봉투도 돌린다는 말이 있었다”고 말해 야권 내 금품살포 의혹에 불씨를 남겨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