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당대회 돈봉투 사건’으로 비틀거리는 한나라당 내에서 재창당 불가피론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
검찰 수사로 금권선거 양상이 드러날 경우 ‘박근혜 비대위’ 체제도 위기 극복이 어려운데다, 4.11총선조차 치르기 어려워져 재창당으로 돌파구를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주로 쇄신파와 친이(친이명박)계가 재창당을 주장하고 있다.
친이계인 안형환 의원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의 기본 틀을 깨지 않고는 국민의 거부감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당이 5층짜리 노후 아파트라면 부수고 재건축해야 한다”며 의원총회에서의 재창당 논의를 촉구했다.
남경필·정두언 의원 등 일부 쇄신파도 전날 회동에서 “재창당도 심각히 고려해봐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하지만 재창당 논의과정에서 친이계와 쇄신파의 연대 가능성은 크지않아 보인다.
정두언 의원은 트위터 글을 통해 “쇄신 때마다 번번이 발목을 잡던 이들조차 재창당을 하자니 정말 곤혹스럽다”며 “박근혜 비대위를 흔들기 위한 재창당이 있고, 엉터리 보수를 청산하고 제대로 된 보수를 세우기 위한 재창당이 있다”며 친이계의 재창당론에 거리를 뒀다.
친박(친박근혜)계 일각에서도 ‘재창당 불가피론’에 공감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친박계인 이경재 의원도 이날 라디오에 출연, “재창당까지는 법적 절차 등 어려움이 많고 부작용이 날 수도 있다”며 “그러나 상황에 따라 재창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친박계 상당수는 ‘당명·정강정책 변경’ 수준의 재창당에는 동의하지만, 한나라당을 해산한 뒤 신당을 창당하는 방식에 대해 강한 거부감도 드러내고 있다.
총선을 3개월여 앞둔 상황에서 당을 해산하면 국고보조금 등에서 수백억원대의 금전적 손실을 보게 되는 현실적인 판단 등과 함께 돈 봉투 사건 한복판에 재창당을 모색할 경우 당의 집단적인 책임회피로 비칠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그동안 재창당을 주장해온 원희룡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돈봉투사건 조사와 책임을 통한 이해할만한 매듭지음이 없는 상태에서 재창당은 집단적인 책임모면 수단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