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석패율제 도입에 의견을 모았지만 민주통합당내 부정적 기류가 확산되면서 제도 도입에 빨간불이 켜졌다.
‘석패율제’는 지역구 선거에서 아깝게 낙선한 후보를 비례대표로 당선시키는 제도로, 지역주의 타파를 위한 정치개혁 과제로 추진돼왔다.
그러나 석패율제가 핵심 현안으로 부각되면서 대부분의 민주당 최고위원들이 ‘신중론’을 주장하고 있다.
이는 석패율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종전 지도부의 입장을 뒤집은 것이다.
특히 문성근·이인영 최고위원은 석패율제 대신 지역구 국회의원과 비례대표 의원을 동시에 선출하는 ‘독일식 정당명부제’ 도입을 주장했다.
민주당 지도부가 일제히 석패율제에 반대하고 나선 것은 이 제도가 지역구도 타파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고 직역별 대표 선출이라는 비례대표제 도입의 취지에 역행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에 더해 부산·경남(PK) 지역의 여건이 좋아지면서 4월 총선에서 PK지역에서 해볼 만하다는 ‘자신감’도 작용한 때문인데다, 선거연대 대상인 진보정당의 석패율제 반대가 큰 부담이다.
민주당은 논란이 증폭되자 26일 오전 영등포 중앙당사에서 최고위원회의·당 정개특위 연석회의를 열어 석패율제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당 지도부는 ‘석패율제 재검토’로 입장을 바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