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총선기획단 및 공천심사위원회 구성을 본격화하는 등 총선채비를 서두르면서 또다시 출처불명의 ‘한나라당 공천 살생부’가 나돌아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
공천 물갈이론이 확산되는데다,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경쟁력(50%)과 교체지수(50%)를 근거로 현역의 지역구 의원 25%(34명)에 대한 공천 배제방침을 밝힌데 이어 나돌고 있어 현역 의원들의 속앓이를 더해주고 있다.
국회 의원회관 주변에 나돌고 있는 공천 부적격자의 명단이 담긴 ‘공천 살생부’에는 경기도내 9명과 인천지역 4명, 서울지역 12명 등 수도권에서만 25명에 달한다. 대구·경북의 TK지역 5명, 부산·경남의 PK지역 8명을 합쳐 38명의 지역구 의원들의 이름을 담고 있다.
살생부 명단에 오른 현역 의원을 보면 도내의 중진인 A·K·K·N의원과 초·재선의 L·K·S·H·P의원, 인천은 중진의 L·L·J의원과 초선 P의원이 당내의 계파 구분없이 골고루 포함돼 있다.
또한 서울지역의 경우 초선이 대다수이고, 영남권은 다선의원 위주로 구성돼 있다.
이같은 출처불명의 ‘공천 살생부’는 지난 18대 총선을 앞두고 나도는 등 선거철마다 되풀이되고 있으나, 신빙성 여부와 상관없이 ‘찌라시’ 수준의 공천 부적격 대상에 포함됐다는 자체만으로 불쾌함과 동시에 대상자들의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어 유포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도내의 한 의원실 관계자는 “원래 선거 때가 되면 그런 문건이 나돌게 마련이고 책임질 위치에 있지 않은 누군가가 그냥 작성한 것 아니겠느냐”면서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대상자 명단을 확인하기도 했다.
한나라당의 당직자는 “공천 살생부라는 것은 있지도 않고 있을 수도 없다”고 일축한 뒤 잇따른 악재 속에 또다른 당내 분란으로 이어지지 않을까하는 우려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