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저소득·저신용 서민 계층 대출사기전화 피해 속출

대출이 어려운 저소득·저신용 서민 계층을 대상으로 한 대출사기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대출영업자들간 고객 신용정보를 공유해 서민피해가 속출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과 시민 등에 따르면 지난해 ‘서민금융 종합지원센터’에 접수된 대출사기 상담 건수가 전년도보다 197%가 늘어나는 등 대출사기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실제 수원 장안구 조원동에 거주하는 회사원 전모(47)씨는 자녀의 학자금이 필요하던 차에 제1금융권에서 대출이 가능하다는 전화를 받게 됐다. 전씨는 이 업체에 전화를 걸어 800만원의 대출을 신청한 후 주민등록 등·초본과 관련 서류를 팩스로 보냈다.

그러나 얼마후 업체로부터 “신용등급이 좋지 않아 대출이 어렵게 돼 다른 금융사에 확인해 본 결과 대출이 가능하다”며 대부업체의 대출을 유도했다.

결국 전씨는 울며겨자먹기로 연 38%의 대부업체 대출을 받았다.

전씨는 “사람들이 제1금융권이라고 하면 신뢰가 가니까 대출상담을 받는건데 일부 대부업체가 이를 악용해 높은 금리의 사금융권 대출을 유도하고 있다”며 “제1금융권 사칭 대부업체에 대한 단속을 강화해 반복되는 피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직장인 윤모(53)씨는 지난해 12월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통해 알게 된 금융권에 대출을 받기 위해 관련 서류를 송부하고, 대출을 신청했다.

하지만 윤씨는 신용조회 건수가 너무 많아 대출이 어렵다는 통보를 받았고, 이후 다른 대부업체에서 걸려오는 수십통의 대출상담전화에 곤욕을 치루고 있다.

윤씨는 “돈이 필요한 차에 고민 끝에 대출이 가능하다는 문자를 받고 대출 가능여부만 확인한 것뿐인데 이후 몇달째 대부업체로부터 끊임없이 전화가 온다”며 “내 정보를 다른 업체들이 어떻게 알아서 대출을 권유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돈이 급하게 필요하다고 해서 저렴한 금리와 신속대출을 내세우는 파격적인 조건에 현혹돼서는 안된다”며 “대출을 받기 전에는 항상 등록된 업체인지 정확한 금리가 얼마인지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