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초·중·고교 대부분이 다음달 새학기부터 주5일제 수업을 실시하지만 토요일 프로그램 운영계획 등의 준비부족으로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도와 도교육청은 물론 정부까지 초등학생 위주의 프로그램 마련에만 열을 올리면서 중·고교 프로그램 계획에는 손을 놓고 있어 자칫 학교폭력과 탈선 등의 확산에 대한 우려마저 일고 있다.
21일 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오는 3월부터 주5일 수업제가 각급학교에 시행되면서 도내 1천163개 초등학교와 588개 중학교, 423개 고등학교 등 총 2천174개 학교에서 전면 또는 부분 실시된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일선 학교에 자체 프로그램 마련을 지시한데 이어, 전면적인 장학지도를 통해 소홀함이 없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도 주5일 수업제의 정착을 위해 교과부가 특별교부금 지원과 함께 ‘토요 스포츠데이’와 ‘토요 돌봄교실’ 등 운영에 나서고, 문화체육관광부와 여성가족부도 주5일 수업제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들 프로그램의 대부분이 초등학생 위주로 마련되면서, 중·고생들에 대한 정책은 미처 준비되지 않아 사각지대에 놓이고 있다.
도교육청은 지난해 10월 학교별로 주5일제의 전면시행 여부를 결정하면서 토요프로그램 진행계획을 각급학교로부터 제출받았으나 일선 학교는 개학을 1주일 앞둔 현재까지 학부모는 물론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프로그램 계획을 전달하지 않아 혼란이 예상되고 있다.
더욱이 주5일제 수업제 실시에 따라 학원가에서는 토요일에만 실시하는 특별수업을 편성해 주말 특수를 누리는 등 교육 양극화를 부추긴다는 지적마저 나온다.
중2와 고1 자녀를 두고 있다는 학부모 김모씨는 “지금도 학원비에 교재비로 살림이 어렵지만 주5일제 프로그램에 대해 학교에선 아무런 안내도 없었다”면서 “주변에서 주말 특별반과 개인교습 등을 당연시 해 머리가 아픈데 결국 학생과 학부모들만 골탕을 먹고 있다”고 말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중·고교생을 위한 학업 위주의 특별수업을 일선학교에서 계획하고 있다”며 “저소득층 지원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등 효율적인 토요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