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대형마트가 대형마트의 영업시간 규제 및 강제 휴무일 시행 등이 포함된 ‘유통산업발전 개정안’ 추진에 대해 반대 서명 운동을 벌이자, 재래시장들이 즉각 반발하고 나서는 등 두 업계 간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지난 7일 건전한 유통질서 확립과 근로자의 건강권 보호 및 지역경제의 상생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대규모점포 등에 대한 영업시간의 제한, 의무휴업일의 지정 등을 내용으로 하는 유통산업발전법 개정법률안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도내 대형마트들은 현실에 맞지 않는 개정이라며 반발, 지난 24일부터 마트를 찾는 소비자들에게 ‘유통산업발전 개정안’을 반대하는 100만 소비자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H마트 관계자는 “마트는 주중 매출이 30%이라고 하면 주말 매출이 70%을 차지하고 있다”며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주말에 쉰다는 것은 이해하겠지만, 마트 내 월세를 내며 임대매장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주말에 쉬게 되면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E마트 관계자도 “영업일수와 영업시간 제한이 시행된다면 마트보다 소비자들에게 가장 큰 피해가 돌아갈 것”이라며 “주말에 마트가 문을 닫고 영업시간을 제한한다고 해서 마트를 찾던 소비자들이 주차가 불편한 가장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전통시장을 찾을지는 의문”이라고 불만을 나타냈다.
대형마트들의 이같은 움직임에 재래시장들은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개정안 자체를 철폐하자는 취지의 대형마트의 서명 운동은 자기 합리화를 위한 행동일 뿐이라고 즉각 반발했다.
못골시장 상인회 회장은 “대형마트들이 서명운동을 실시하고 있는 것은 자신들의 입장을 소비자들에게 합리화시키고 있는 행위일 뿐”이라며 “재래시장 상인들은 지금 가장 힘든 상황을 겪고 있는데 대형마트들이 앞으로 영업시간 제한이나 영업일수 제한 등의 규제가 시행된다면 조금이남아 재래시장의 활기를 찾지 않겠냐”고 밝혔다.
매산시장 상인회 회장은 “최근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 대형마트가 2, 4째주 일요일에 쉬고 영업시간이 오후 8시로 제한된다면 지금보다 많은 사람들이 전통시장을 찾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