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일(對日) 수입업체들이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미국과 유럽으로 수입선을 많이 돌릴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8일 ‘일본 대지진 1년 후, 한국의 대일 수입둔화 원인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대일 수입업체가 글로벌 아웃소싱 환경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설문 조사(220개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업체의 30.1%는 일본 지진이 발생한 1년 전보다 현재 대일 수입 물량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감소한 원인으로는 지진 영향보다는 엔고에 따른 수입가격 부담, 해외 수출 및 국내 시장의 수요침체 등을 주로 지적했다.
업체의 60%는 엔고 지속 등을 이유로 올해 대일 수입여건을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올해 대일 수입 비중을 조정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절반(50%)이었다.
이 가운데 67.8%는 ‘한-유럽연합(EU) 및 한-미 FTA 발효로 미국 및 유럽 지역 조달 비중을 확대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박기임 수석연구원은 “업종별로 보면 그동안 큰 폭의 대일적자를 기록한 기계류와 화학 업종에서 미국이나 유럽의 조달 비중을 늘리겠다는 답이 높게 나왔다”며 “한-EU, 한-미 FTA 발효가 앞으로 대일 무역적자 개선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진 영향으로 대일 수입에 차질이 발생한 기간 대중 수입 조달을 확대했다는 응답이 다수 있었지만 아직은 중국 제품의 품질 및 기술 수준이 낮아서 단기간 대체품 정도로만 활용했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우리나라의 소재부품 수입국 순위에서 중국은 2008년부터 일본과 1,2위 경쟁을 하고 있는데 작년에는 일본을 제치고 중국이 다시 1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