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UN 녹색기후기금(GCF) 유치 후보도시로 확정돼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 모범도시로의 성장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인천시는 13일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중앙정부 기획재정부로부터 UN 녹색기후기금(GCF) 유치를 위한 입지선정위원회에서 인천시를 대한민국의 유치 후보도시로 최종 확정 됐다는 소식을 알려왔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그동안 국내에서 GCF 사무국 유치를 위해 서울시와 인천시가 자존심을 건 유치전을 벌여 왔으나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 모범도시로 성장을 추구해 온 인천시가 GCF 유치 후보도시로 최종 확정됐다.
이에 인천시가 앞으로 대한민국 대표도시로서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오는 4월 GCF 이사회에 유치를 신청하면, 오는 11월 제18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에서 인준절차를 거쳐 유치국가를 최종 확정짓게 된다.
특히 GCF 사무국유치 경쟁에서는 독일(본), 스위스(제네바), 중국, 멕시코 등 여러 나라가 뛰어 들것으로 보고 있어 치열한 경합이 예상되고 있다.
이날 소식을 접한 송영길 시장은 “인천시는 저탄소 친환경 도시인 ‘송도국제도시’에 UN기구 전용 빌딩인 I-Tower를 오는 9월 완공해 GCF가 즉시 입주 할 수 있도록 모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인천시는 송도컨벤시아, 글로벌대학, 국제학교, 국제병원 등의 입지로 국제회의, 교육, 의료, 숙박, 교통 등 최적의 근무여건을 구비 완료했다”며 “인천시는 GCF 유치를 위해 이미 준비된 도시”라고 강조했다.
한편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는 내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1천억 달러씩 7천억 달러(약 800조원)의 녹색기후기금을 조성키로 했으며, 이를 인천시가 유치하게 되면 대한민국 건국 이래 최대의 경제적·사회적 파급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 국제기구 유치는 국격을 드높일 뿐만 아니라, 생산·고용 유발효과 등을 통해 국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외에도 북한관련 위험요소(risk) 감소 및 우리나라 녹색금융, 녹색기술산업, 제품에 대한 비즈니스 창출 및 마케팅홍보 등 직·간접적 경제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