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상공회의소가 제21대 회장에 당선된 최신원 SKC 회장의 잦은 부재를 대신할 상근 부회장 체제 구축을 위한 정관 개정에 나선다.
이와 함께 부회장, 상임의원 등 수원상의 임원 수를 기존 12명에서 4명을 추가할 것으로 알려졌다.
수원상공회의소는 19일 제21대 회장으로 선출된 최신원 SKC 회장을 위원장으로 의원총회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날 의원총회에서는 상근 부회장직을 신설하는 한편 부회장 3명, 상임의원 7명, 감사 2명 등 총 12명의 기존 임원 수에서 부회장과 상임의원을 각각 2명 늘려 16명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정관개정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수원상의 한 의원은 “19일 오후 5시, 상근 부회장 신설과 임원 확대 등을 주제로 열리는 의원총회에 참석하라는 통지를 수원상의로부터 받았다”고 전했다.
현재 수원상의 임원 호선규정에는 부회장, 상임의원, 감사 등의 임원직만이 존재한다.
수원상의가 상근 부회장 신설이라는 정관개정 카드를 내민 것은 SKC와 수원상의 회장을 겸직하게 된 최 회장의 잦은 부재를 내근 부회장이 대신하는 대행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회장 대행체제 구축은 오히려 최 회장이 총회 참석없이 경선에서 승리하면서 발생한 ‘이름만 걸어놓은 수원상의 회장’이라는 자질 논란을 더욱 부추길 것으로 전망된다.
수원상의 한 의원은 “정관 개정을 통해 상근 부회장직을 신설, 대행체제를 구축하는 것은 최 회장이 수원상의 회장직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할 것을 미리 대비하는 것 아니겠냐”며 불만을 나타냈다.
임원 수를 추가하는 것에 대해서도 한 의원은 “임원수를 늘리면 총 50명 중 16명이 임원이 되는데 이는 친 수원상의 의원세력 확대에 나선 것”이라며 “안건 대부분이 과반수 이상 참석과 과반수 이상 의결로 결정되는 구조로 임원수가 늘면 의사결정권이 한쪽으로 쏠릴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수원상의 관계자는 “수원상의 회장은 명예직으로 업무 수행은 회장보다 사무국에서 맡게 되는 것이 옳다”며 “임원수 확대에 대해선 의원총회가 열려야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