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삼겹살 무관세 수입 방침에 양돈 농가들이 ‘돼지 출하 중단’으로 맞서면서 삼겹살 가격 급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2분기에 삼겹살 7만톤을 무관세로 수입하겠다는 계획을 강행하면서 양돈 농가들이 다음 달 2일부터 돼지고기 출하를 중단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정부는 가격 안정을 위해 1분기 7만t을 무관세로 수입 중이고 2분기에는 추가로 삼겹살 7만t을 무관세로 들여오겠다는 입장이다.
대한양돈협회는 긴급 협의회를 갖고 농가의 삼겹살 할당관세(무관세) 수입 연장 철회 요구를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다음달 2일부터 돼지 출하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또 협회 임원진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무기한 농성에 돌입했다.
양돈협회는 “올 2~3월 돼지값은 정부가 정한 가격상한선보다 20% 이하를 밑도는 등 생산비 이하로 폭락한 상태”라며 “한·미 FTA 발효로 냉동삼겹살의 관세율이 25%에서 16%로 낮아져 미국산 삼겹살의 대량수입이 예고된 상황에서 무관세 추가 수입은 양돈 농가를 말살하겠다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
이어 “정부의 태도가 바뀌지 않는다면 돼지를 몰고 다음달 6일 국회 앞에서 전국 양돈농가 총궐기 대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실제 2월 삼겹살 소비자가격은 100g당 평균 1천664원으로 지난해 2월(2천132원)보다 22% 내렸고, 2월 도매가격도 ㎏당 4천401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떨어졌다.
하지만 농림수산식품부는 삼겹살 소비자가격이 여전히 직전 5개년 평균보다 20~30% 높다고 반박했다. 현재 삼겹살 도매가격이 2007~2011년 평균인 3천587원보다 비싸다는 것.
농식품부 관계자는 “최근 사료값 상승을 감안하더라도 지금의 돼지고기 가격은 예년보다 낮지 않다”며 “4~8월 돼지고기 성수기를 앞두고 가격 상승이 우려돼 할당관세를 운용한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양돈농가와 협의를 계속하면서도 출하 중단에 대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먼저 육가공업체와 계열화업체 등에서 물량을 미리 확보하고 출하가 중단되면 재고물량을 시중에 풀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육류유통수출입협회와 대형 유통업체 등도 돼지고기 공급 파동에 대비책을 마련하도록 했다.
이번 사태로 돼지고기 출하가 중단되면 당장 마트와 정육점, 식당에서의 수급 차질이 우려된다.
양돈협회에는 국내 농가의 90%에 해당하는 5천여 농가가 가입해 있고, 국내 시장에서 국산 돼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70%인 70만t 안팎으로 나머지는 수입 물량으로 충당되고 있다.
현재 수입 삼겹살 재고 물량은 1만5천135톤으로 20일가량 소비할 수 있는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