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이 4일 현재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 어느 쪽이 1당을 차지할 것인가가 최대 관심사로 부상되고 있다.
특히 8개월 후 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치러지는 이번 총선은 대선의 전초전으로 불리고 있어 여야 양측은 1당에 사활을 걸고 민심에 읍소하고 있다.
여소야대가 되느냐 여대야소가 되느냐에 따라 대선 정국은 확연히 달라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번 총선은 초반부터 ‘박근혜 대 노무현’의 틀 속에서 치러지고 있다.
부산과 경남에서 친노(친노무현)계가 대거 나서 새누리당을 위협하고 있고,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제주해군기지·정수장학회 등을 놓고 새누리당 박근혜 중앙선대위원장과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문재인 후보(상임고문)가 강하게 충돌해왔다.
민주당은 국정 파탄에 대한 ‘이명박근혜 정권’의 공동책임을 전면화하면서 ‘불법사찰’ 파문을 계기로 정권심판론을 최대한 부각시키고 있는 반면 새누리당은 야권이 이념투쟁에 골몰하고 있다면서 ‘미래 전진론’으로 맞서고 있다.
이날 현재까지 총선 판세는 매우 불투명하다.
다만 젊은 세대가 민감하게 여기는 ‘불법사찰’ 파문을 계기로 민주당이 다소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는 것이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대체적 견해다.
특히 전체 지역구(246곳)의 45.5%인 112석이 걸린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선거가 승패를 가를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백중세로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방송 3사가 ‘불법사찰’ 파문 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경기는 조사대상 9개 지역 중 4곳에서 초박빙 접전이다.
새누리당은 탄핵 정국 속에서 치러진 17대 총선(121석) 성적에 못미칠 경우 완패로 인식하는 분위기다. 이럴 경우 김문수 경기도지사나 정몽준 후보 등 비박근혜계 주자들이 책임론을 제기하며 박 위원장에 도전하고 나설 가능성이 크다.
민주당은 내심 140석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는 1당은 시야에 들어왔다는 판단이지만 과반까지는 힘들다는 게 중론이다.
이에 따라 여야는 불법사찰 파문의 여파와 부동층이나 ‘숨은 표’의 움직임, 젊은 세대의 투표율과 SNS의 파괴력, 박근혜 위원장의 힘, 안철수의 강연정치 등을 남은 변수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