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이스피싱 수법 지능화 지식층도 앉아서 당한다

사례1. 국내 유수의 대기업을 다니고 있는 A씨는 지난달 21일 자신을 검찰청 직원이라고 주장하는 전화 한통을 받았다. 전화기 넘어 수상한 목소리는 A씨 명의의 통장이 금융사건과 관련이 있다며 싸이트 접속과 통장 계좌번호, 보안카드 입력을 권유했다. 이후 이 사기범은 A씨의 공인인증서를 재발급 받아 5회에 걸쳐 2천만원 상당을 이체한후 인출해갔다.

사례2. 건실한 직장인으로 갑작스레 돈쓸 일이 생겼던 B씨는 지난달 14일 휴대폰으로 C캐피탈 발신의 대출가능번호를 문자로 받았다. 대출 문의를 위해 해당번호로 전화를 걸었던 B씨는 상담원이라는 정체불명의 인물과 통화해 700여만원의 대출이 가능하다며 수수료명목으로 60여만원을 입금토록 했다. 이후 유명 보증보험회사라며 걸려온 전화를 받고 추가로 50만원을 입금한 이후 연락이 끊겼다.

고학력·고소득자·젊은층 피해사례 급증

최근 전화금융사기인 보이스피싱 관련 대출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고학력·고소득의 지식층과 젊은층도 속아 피해를 입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외국에 서버를 두거나 대포폰으로 행해지는 범죄형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피해금액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4일 경찰에 따르면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사례의 대부분이 금융감독원 및 법원, 검찰청 등의 국가기관이나 금융기관 직원들을 사칭해 피해를 보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보이스피싱 사기범들은 피해자들이 믿을 수 있도록 해당 기관 공문을 보내거나 홈페이지 주소로 접속하도록 유도하는 등 그 수법도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직장인 이모(31)씨는 “지난달 근무중에 자신이 검사라며 계좌번호와 보안카드 정보 등을 물어와 그냥 끊어 버렸다”며 “전화번호와 이름을 어떻게 알고 전화하는건지 소름이 끼칠 정도”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예전에는 노인들을 상대로 한 보이스피싱 피해가 많았지만 최근엔 젊은층이나 대기업 직장인들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며 “계속 증가하는 피해금액도 문제지만 보이스피싱을 원천적으로 막을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실제 전화금융사기가 발생하게 된 경우 전화를 끊고 난 후 112로 신고해 본인계좌 및 상대방 계좌의 지급정지 요청을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