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복지재단(대표이사 인경석)이 5일 ‘경기도민 복지의식 조사와 정책방향’ 연구(연구책임 이준우 강남대교수)를 발표하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정부가 복지를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에 참여한 1천61명 중 63.4%가 ‘복지에 대한 일차적 책임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 있다’고 답했다.
특히 20대 중 ‘자기자신에 복지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7.6%에 불과해 젊을수록 보편적 복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복지비용 부담에 대한 의식조사에서는 20대와 60대가 소득이 높을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한다는데 각각 5점(5점 만점)과 4.31점으로 평가했다.
복지예산을 늘리기 위해 세금을 더 낼 의향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20대가 가장 낮은 3.23점을, 60대는 3.63점으로 평가해 평균 3.38점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선별복지와 보편복지에 대한 질문에는 전반적으로 선별복지에 찬성(2.61점)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학력이 높아질수록 선별복지 선호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